[형사/판례] 진중권의 변희재에 대한 모욕죄 판결문
꽤 예전의 사건이다. 모욕죄의 법리에 관하여는 별로 특이한 것이 없지만, 그 대상이 꽤 유명한 인물이라는 점, 표현이 조금 특이하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보았을 때 한 번 정도는 읽고 넘어갈 가치가 있는 판결이다. 사실 유명한 두 논객의 링 밖 진흙탕 싸움 같은 느낌이라 흥미롭기도 하다.
당시 진중권 교수는 변희재에 대해 '드보르잡'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는 인터넷에서 당시에 자주 쓰이던 표현인 '듣보잡'을 조금 변형한 것으로, 풀어서 해석 하자면 '듣도 보도 못한 잡것(잡놈)' 정도라 할 수 있다.
물론 이 사건 사안에서는 '잡'이라는 글자가 들어가게 되어 '놈'이라는 비하적 표현이 수반되는 것이 전제가 되었기에 판결문과 같은 결론이 나왔으나, 만약 진중권이 '듣보'라는 단어까지만 사용하였다면, 그 표현의 배경이 비록 상대방에 대해 조롱을 하고자 하는 의사였다 할지라도 무죄가 선고 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했다는 느낌이 든다. 타인에 대해 '듣도 보도 못한 사람' 정도의 표현만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사회적 가치가 저하된다고 단정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발언자 자신의 단순한 평가 정도로만 이해함이 옳을 것이다.
어쨌든, 진중권 교수는 '놈'이라는 단어의 약자인 '잡'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듣보잡'이 함축적(?!) 표현이라는 주장을 하였으나, 결국 대법원까지 가는 긴 법정공방 끝에 주장을 모두 기각 당하여 유죄를 선고 받게 되었다. 끝내 유죄를 선고받고 전과가 생긴 것은 가해자인 진중권이지만, 그 긴 소송 동안 수 많은 언론이나 여론으로부터 '듣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얻게 된 변희재야 말로 이 사건 소송의 진정한 패자가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든다.
어찌됐건, 진중권의 변희재에 대한 모욕 사건의 대법원 판결문을 소개한다.
대법원 2011. 12. 22. 선고 2010도10130 판결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명예훼손), 모욕]
사 건 2010도10130
가.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 (명예훼손)
나. 모욕
변호인 법무법인 청안
담당변호사 허진민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방법원 2010. 7. 16. 선고 2010노615 판결
판결선고 2011. 12. 22.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모욕죄에 관한 상고이유에 대하여
모욕죄에서 말하는 '모욕'이란 사실을 적시하지 아니하고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대법원 1981. 11. 24. 선고 81도2280 판결, 대법원 2008. 4. 24. 선고 2006도4408 판결 등 참조). 그리고 어떤 글이 모욕적인 표현을 포함하는 판단 또는 의견의 표현을 담고 있을 경우에도 그 시대의 건전한 사회통념에 비추어 살펴보아 그 표현이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로 볼 수 있는 때에는 형법 제20조에 의하여 예외적으로 위법성이 조각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대법원 2005. 12. 23. 선고 2005도1453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이 2009. 1. 26. 진보신당 인터넷 게시판에 게시한 글과 2009. 6. 21. 자신의 인터넷 블로그에 게시한 글의 내용과 문맥, 그 표현의 통상적 의미와 용법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이 게시한 글들 중 '듣보잡', '함량미달', '함량이 모자라도 창피한 줄 모를 정도로 멍청하게 충성할 사람', '싼 맛에 갖다 쓰는 거죠', '비욘 드보르잡', '개집' 등이라고 한 부분은 피해자를 비하하여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서 모욕적인 언사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나아가 이는 피고인이 피해자의 구체적인 행태를 논리적 · 객관적인 근거를 들어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피고인이 주장하는 바와 관계가 없거나 굳이 기재할 필요가 없는 모멸적인 표현들을 계속하여 사용하면서 피해자에 대하여 인신공격을 가한 경우에 해당하여 피고인의 행위를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비록 '듣보잡'이라는 신조어(新造語)가 '듣도 보도 못한 잡것(잡놈)'이라는 의미 외에 피고인의 주장과 같이 '유명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고려하더라도, 피고인이 이 부분 게시 글에서 '듣보잡'이라는 용어를 '함량 미달의 듣보잡', '개집으로 숨어 버렸나? 비욘 드보르잡이 지금 뭐하고 있을까요?' 등과 같이 전자(前者)의 의미로 사용하였음이 명백한 이상 이로써 피해자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듣보잡'의 의미에 관하여 논리와 경험칙에 위배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모욕죄의 성립과 정당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2.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명예훼손)죄에 관한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택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판시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 부분 공소사실에서 적시된 사실은 중요한 부분이 객관적 사실과 합치되지 아니하여 허위이고 피고인도 허위임을 인식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판단하고, 나아가 그 판시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피고인이 이 부분 공소사실의 글을 게시한 주요한 동기 내지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없고 피고인에게는 피해자를 비방할 목적이 있었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허위사실 여부에 관하여 논리와 경험칙에 위배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증명책임, 비방의 목적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판단을 누락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전수안
대법관 양창수
주심 대법관 이상훈
'법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사/판례] 노래방 도우미와 성관계에 '강간죄'가 인정된 사건 (0) | 2021.04.10 |
---|---|
바카디 칵테일에 관한 뉴욕 대법원의 판결 (0) | 2021.03.09 |
토렌트 소설 모음집 민사소송 사건 판례 (0) | 2021.02.13 |
[형사/판례] 브레이킹 배드 시즌5의 '리디아'를 꿈 꾼 한국인 (0) | 2021.01.19 |
[형사/판례] 대한항공의 이른바 '땅콩 회항사건' 판결문 (0) | 2021.01.18 |